의학

피부과 지식 - 보톡스는 반복할수록 효과가 떨어질까? 내성에 대한 진실

lioraj 2025. 4. 2. 21:41

피부과 지식 - 보톡스는 반복할수록 효과가 떨어질까? 내성에 대한 진실

보톡스는 이마 주름, 미간, 눈가뿐 아니라 사각턱, 승모근, 종아리, 다한증 등 다양한 부위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미용 시술이다. 시술 후 비교적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고, 시술 시간이 짧으며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이들이 꾸준히 반복 시술을 받는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이번엔 효과가 약한 것 같아”, “보톡스가 잘 안 듣는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혹시 보톡스는 반복하면 내성이 생겨서 효과가 줄어드는 건 아닐까? 보톡스 내성의 원리부터 실제 발생률, 예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자.


1. 보톡스의 작용 원리와 효과 지속 시간

보톡스의 주성분인 보툴리눔 톡신 A형은 근육과 신경 사이의 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차단해 근육 수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주름이 생기는 원인인 근육 움직임이 줄어들고, 턱근육처럼 과도하게 발달된 근육도 서서히 축소된다.

보톡스는 시술 후 3~7일 이내 효과가 나타나고, 보통 3~6개월 지속된다. 하지만 반복 시술을 할수록 어떤 사람은 효과가 점점 더 오래 가는 반면, 효과가 점점 약해진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다.


2. 보톡스 내성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보톡스 내성은 보툴리눔 톡신에 대해 인체가 항체를 형성하면서 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다시 말해, 톡신을 이물질로 인식한 면역 시스템이 이에 대응하는 중화항체를 만들고, 톡신이 근육에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다.

<논문> Naumann M et al., 2003 (Neurology)

“보툴리눔 톡신 A형에 대한 내성은 중화항체 형성에 의한 것이며, 반복 투여 시 극히 드물지만 효과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


3. 실제로 내성이 생기는 빈도는?

다수의 임상 논문에 따르면, 정상적인 미용 목적의 보톡스 시술에서 내성 발생률은 0.5% 미만으로 매우 낮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맞물릴 경우 위험은 높아질 수 있다.

<논문>

Pickett A et al., 2008 (Toxicon)

“미용적 목적의 저용량 사용에서는 항체 생성 위험이 매우 낮지만, 빈번한 고용량 투여 시 내성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Lange O et al., 2009 (J Neural Transm)

“장기간 톡신 노출 시 2~5%에서 중화항체 형성이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고용량 치료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Bellows S et al., 2022 (Toxins)

“Xeomin을 포함한 정제형 톡신을 사용할 경우 항체 형성률은 0.2% 이하로 보고되었다.”

 

Naumann M & Jankovic J, 2004 (Mov Disord)

“신경계 질환 치료에 보툴리눔 톡신을 장기 고용량 사용할 경우 내성 발생률은 2~14%로 보고되었으나, 미용적 사용에서는 현저히 낮다.”

* 내성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

  • 짧은 간격으로 반복 시술 (3개월 이내 빈번한 시술)
  • 과도한 용량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 톡신의 불순물, 보존제 등 비활성 단백질이 많은 제품 사용
  • 체질적으로 면역 반응이 강한 사람

4. 내성이 의심될 때 나타나는 증상

  • 예전보다 효과가 덜하거나 빨리 사라진다
  • 같은 용량인데도 근육 반응이 없다
  • 보톡스 종류를 바꿔도 반응이 미미하다 (강력한 항체 형성 시)

이럴 경우에는 내성을 고려해야 하며, 혈액검사를 통해 항체 유무 확인도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미용 시술에서는 실질적으로 검사까지 진행하는 경우는 드물다.


5. 내성을 예방하는 5가지 전략

  1. 시술 간격은 최소 3~4개월 이상 유지하기
  2. 최소 유효 용량만 사용하기 (효과가 있다면 적정 수준 유지)
  3. 중복 부위 시술 자제 (한 시술에서 여러 부위를 동시에 과량 사용 X)
  4. 정제도 높은 톡신 제품 선택 (불순물 최소화된 제품 추천-제오민,코어톡스 등)
  5. 내성이 의심될 땐 제품 교체 고려 (A형 → B형 톡신 등)

<논문> Albrecht P et al., 2019 (J Neural Transm)

“내성 발생 시 보툴리눔 톡신 A형에서 B형으로 교체하면 효과를 다시 얻을 수 있다.”


6. 반복 시술하면 오히려 효과가 오래가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보톡스를 꾸준히 맞은 사람들이 “이번엔 6개월 넘게 갔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보톡스로 인해 근육이 점차 얇아지고 움직임이 줄어들면서, 필요 용량도 줄고 지속시간도 길어지는 자연스러운 결과다.

즉, 모든 반복 시술이 내성을 유발하는 건 아니다. 오히려 전문가의 설계 하에 적절한 간격과 용량으로 꾸준히 시술하면 효과 유지력이 점점 좋아지는 사례가 훨씬 많다.

<논문> Satriyasa BK, 2019 (Open Access Maced J Med Sci)

“장기적인 보톡스 치료는 내성보다 근육 위축과 적응으로 인해 효과 지속 시간이 연장되는 경향이 강하다.”


결론: 보톡스, 잘 맞으면 반복할수록 더 오래간다

보톡스를 반복하면 무조건 효과가 떨어진다는 건 오해다. 내성은 분명 존재하지만 발생률은 매우 낮고, 대부분 잘못된 시술 패턴이 원인이다.

정확한 진단과 용량 조절, 충분한 간격을 두고 시술하면 오히려 보톡스의 효과는 점점 더 오래가고 자연스러워진다. 내성이 걱정된다면, 시술 전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시술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가는 것이 최선이다.